24/25 증여세 면제한도 및 증여세세율 계산방법 계산기 바로가기

✅증여세 개정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와 관련하여 자녀 면제한도 기준이 조건부로 개정되었고, 증여세 세율은 과세구간과 세율이 개정되었습니다. 2024년 개정안에 따른 증여세 자녀 면제한도와 계산방법을 이해하고, 증여세 계산기를 통해 대략적인 증여세액을 알아보겠습니다.

2425 증여세 면제한도 및 증여세세율 계산방법 계산기 바로가기 썸네일

증여세란

국세청에서 명시하고 있는 ‘증여세’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받은 경우에 그 재산을 증여받은 자가 부담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개정

증여세 세율

이번 개정안에서는 최소 과세구간최대 과세구간, 세율을 개정하였습니다. 아래 예시를 통해 증여세 계산방법 개정에 대해 이해해보겠습니다 🙂

현행
과세구간
현행 세율개정
과세구간
개정 세율
1억원 이하10%2억원 이하10%
5억원 이하20%2억원 초과
5억원 이하
20%
10억원 이하30%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30%
30억원 이하40%10억원 초과40%
30억원 초과50%

2억원 증여 시 세액

기존과 동일한 세율을 적용하지만 최소 과세기준을 1억원 이하에서 2억원 이하로 개정하면서 증여세 세액이 감소하게 됩니다.

📌최소 과세구간 1억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
➡️현행 : 2억원 * 20% = 4천만원
➡️개정 : 2억원 * 10% = 2천만원

30억원 초과 증여 시 세액

이번에 최대 과세구간은 하향 조정하였지만 최대 과세 세율도 함께 하향 조정하면서 고액 증여에 대한 세금이 대폭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중위 과세 표준의 구간이나 세율은 변경되지 않은 것이 약간의 논란을 빚었던 것 같습니다.

📌최대 과세 구간 30억원 초과에서 10억원 초과로 개정
📌최대 과세 세율 50%에서 40%로 개정
➡️현행 : 40억원 * 50% = 20억원
➡️개정 : 40억원 * 40% = 16억원

증여세 면제한도(공제) 개정

증여 면제한도는 10년마다 계산되며 증여 대상에 따라 면제한도가 상이합니다.

아마도 증여세 자녀 면제한도에 가장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기본 자녀 면제한도는 5천만원으로 동일하지만 혼인 시 1억원까지 면제 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세 자녀 면제한도 조건부 확대
➡️현행 : 자녀 1인당 5천만원
➡️개정 : 자녀 1인당 5천만원 / 혼인 시 1억원
📌그 외 증여세 면제한도 동일
증여 대상증여세 면제한도
부모가 성년 자녀에게5천만원
(혼인 시 1억원)
부모가 미선연 자녀에게2천만원
자녀가 부모5천만원
부부 간6억원
형제 자매 간1천만원
시부모와 며느리 간1천만원
타인 간

증여세여세 세율 계산기

정확한 증여세 계산은 반드시 세무사와 상담해야 하지만, 대략적인 증여세는 아래 증여세 계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FAQ]

2024년 7월 증여세 관련 개정 내용에 무엇이 있나요?

이번 개정안에는 최소/최대 과세 구간과 세율이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자녀 면제한도가 조건부로 1억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가 증여에 유리해진 것인가요?

증여세 세율 최소/최대 과세 구간과 세율이 변경되어 작은 금액 또는 큰 금액에 대한 증여는 유리해졌으나 2억~10억에 대한 세율은 변경된 내용이 없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수 : 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클릭 후 더 보기클릭 후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