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상속세 면제한도 상속세세율 계산기 계산방법 공유

✅2024 상속세 개정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상속세 면제한도와 관련된 자녀공제 기준이 개정되었고, 상속세 세율의 경우 최소/최대 과세표준과 세율이 개정되었습니다. 2024년 개정안에 따른 상속세 면제한도와 계산방법을 이해하고, 상속세 계산기를 통해 상속세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2024 상속세 면제한도 상속세세율 계산기 계산방법 공유 썸네일

상속세란

국세청에서 명시하고 있는 ‘상속세’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당해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 정의

상속세 세율

이번 개정안에서는 최소 과세구간최대 과세구간, 세율을 개정하였습니다.

현행
과세표준
현행 세율개정
과세표준
개정 세율
1억원 이하10%2억원 이하10%
5억원 이하20%5억원 이하20%
10억원 이하30%10억원 이하30%
30억원 이하40%10억원 초과40%
30억원 초과50%

2억원 상속 시 세액

세율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최소 과세표준을 1억원 이하에서 2억원 이하로 변경하면서 해당 과세표준의 상속세 금액이 감소하게 됩니다.

📌최소 과세표준 1억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
➡️현행 : 2억원 * 20% = 4천만원
➡️개정 : 2억원 * 10% = 2천만원

30억원 초과 상속 시 세액

이번에 ‘부자감세‘라고 불리게 된 이유입니다. 최대 과세표준은 하향 조정하였지만 최대 과세 세율도 하향 조정하면서 고액 상속자들의 세금이 대폭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중위 과세 표준의 구간이나 세율은 변경되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된 것 같습니다.

📌최대 과세 표준 30억원 초과에서 10억원 초과로 하향
📌최대 과세 세율 50%에서 40%로 하향
➡️현행 : 40억원 * 50% = 20억원
➡️개정 : 40억원 * 40% = 16억원

상속세 면제한도(공제) 개정

상속의 경우, 대부분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재산이 넘어가는 상속이 대표적인데요. 이번 개정안에서 자녀공제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자녀공제 확대
➡️현행 : 자녀 1인당 5천만원
➡️개정 : 자녀 1인당 5억원
📌그 외 기초공제, 인적공제, 일괄공제 기준 동일

다만, 기초공제(2억원)와 그 밖의 인적공제의 합계액일괄공제(5억원) 중 큰 금액이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유불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상속세 세율 계산기

정확한 상속세 계산은 세무사와의 상담을 통해 산출해야 하지만, 대략적인 상속세는 아래 상속세 계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FAQ]

2024년 7월 상속세 관련 개정 내용에 무엇이 있나요?

이번 개정안에는 최소/최대 과세 표준 과 세율 변경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속세 면제한도가 상속에 유리해진 것인가요?

상속세 자녀공제가 1인당 기존 5천만원에서 5억원으로 상향되었으나 일괄공제와 비교하여 유불리 판단이 필요해보입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 38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클릭 후 더 보기클릭 후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